WHO에 따르면 전 세계 당뇨 환자는 8억 명을 넘어섰으며, 10명 중 1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고 해요. 당뇨는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중요한데요, 필요하면 약을 복용하고,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조절해 혈당을 최대한 정상 범위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랍니다.
혈당 관리하며 많은 고민을 하게 만드는 치킨은 단백질이 풍부해 혈당을 크게 올리지 않지만, 튀긴 후 양념 소스를 버무린 치킨은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킬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당뇨 환자가 먹어도 괜찮은 치킨과 피해야 할 치킨, 그리고 치킨을 먹을 때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1. 치킨 비교 대상 제품
간장/마늘맛 | 매운맛 | 치즈맛 | |
교촌 | 교촌 오리지날 | 교촌레드오리지날 | – |
굽네 | 갈릭마왕 | 고추바사삭 | 치즈스노윙 |
네네치킨 | 소이갈릭치킨 | 쇼킹핫치킨 | – |
노랑통닭 | 간장THE치킨 | 고추장THE치킨 | – |
BBQ | 소이갈릭스 | 핫금올리브레드착착 | – |
BHC | 골드킹 | 맛초킹 | 뿌링클 |
처갓집 양념치킨 | 와락치킨 | 매운불양념치킨 | 슈프림골드양념치킨 |
푸라닭 | 블랙알리오 | 고추마요치킨 | – |
호식이두마리치킨 | 간장치킨 | 땡초불꽃치킨 | – |
60계치킨 | 간지치킨 | 고추치킨 | – |
[치킨별 당, 나트륨 함량 비교]
당뇨 환자는 나트륨은 직접적인 영향이 없어보일 수 있지만, 고혈당에 오래 노출되면 혈관이 약해지기에 나트륨으로 섭취 조절도 해야해요.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면 고혈압, 신장 질환, 인슐린 저항성이 악화될 수 있어 혈당 관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치킨의 당과 나트륨 함량을 확인해보세요.
*치킨 100g당 나트륨 비교
출처 : 소비자 24
나트륨이 가장 높은 치킨은 네네치킨의 소이갈릭 치킨으로 100g당 나트륨이 513mg이 포함되어 있었고, 나트륨이 가장 낮은 치킨은 교촌치킨의 교촌오리지날로 100g당 나트륨이 257mg이에요.
당은 네네치킨은 쇼킹핫치킨으로 100g당 18.5g으로 가장 높고, 교촌치킨의 교촌 오리지날이 100g당 0.9g으로 가장 낮았답니다.
*치킨 1마리 무게 : 평균 879g(한국소비자원 기준,2022)
[프랜차이즈 치킨 종합 결과표]
소비자 24에서 발표한 프랜차이즈 치킨 종합결과표예요. 치킨의 당류, 단백질, 콜레스테롤, 나트륨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니 자주 섭취하는 치킨의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2. 섭취해도 되는 치킨, 무조건 피하면 좋은 치킨은?
섭취해도 좋은 치킨은 자주 많이 먹어도 되는 치킨이 아닌, 그나마 혈당을 덜 올리는 치킨이에요.
구운 치킨, 후라이드 치킨 종류 외 치킨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고, 후라이드 치킨을 섭취 후엔 식후 혈당에 조금 늦게 반영되는 경우가 있으니, 후라이드 치킨을 드신 후엔 식후 혈당을 식사 시작 1시간이 아닌, 1시간 반, 2시간 뒤에 한 번 더 측정해 보는 것을 추천해 드려요.
NO | 섭취해도 되는 치킨 | 무조건 피하면 좋은 치킨 |
1 | 교촌/ 오리지날치킨 | 네네치킨/ 쇼킹핫치킨, 소이갈릭치킨 |
2 | 굽네/ 고추 바사삭 | 처갓집/슈프림골드양념치킨 |
3 | 교촌/ 레드오리지날 | – |
4 | 호식이두마리/ 간장치킨 | – |
3. 혈당 방어하며 치킨 먹는 방법은?
치킨을 드시기 전에 양배추, 오이, 토마토 등 간이 되어있지 않은 야채를 3~5조각 정도 드신 후 치킨을 드시는 것을 추천해요.
그리고 치킨의 튀김옷도 혈당을 올릴 수 있으니 튀김 옷을 제거하고 드시는 방법, 치킨의 양 자체는 1-2조각으로 제외하는 방법 등이 있어요.
또, 요즘 치킨의 소스와 밥을 섞어 먹는 ‘치밥’을 많이 하는 분들도 계시죠. 치밥의 경우 예상되는 것처럼 밥의 탄수화물과 소스의 당분으로 굉장한 혈당을 올릴 수 있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아요.
이렇게 드신 후엔 급격히 올라간 혈당을 낮추기 위해 식후엔 천천히 걸으며 혈당을 낮추는 것이 도움이 되니 식후엔 가만히 앉아있기 보단 최소한 5분이라도 걷고, 만약 비가와서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제자리 걸음이라도 하여 혈당을 낮춰야 당뇨 합병증 위험을 늦출 수 있답니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이라면? 아래 버튼을 눌러 자격 여부를 확인하고, 손쉽게 요양 등급 신청까지 해결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