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을 돌보면서 주, 야간 보호센터를 들어보셨을 거예요. 흔히 노치원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노치원이라고 불리는 주야간보호센터에서는 어르신들이 다른 어르신들과 교류하고 혼자서 지루하게 보낼 수 있는 시간을 즐겁게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짜여 있어요.
근데 이 주야간보호센터를 언제부터 이용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되실 텐데요.
주야간보호센터에 대해 알아보고, 어르신의 상태에 따라 센터를 이용하기 좋은 시기와 비용, 그리고 적응이 어려운 경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까지 함께 알려드릴게요.
|
1. 주야간보호센터란?
주야간보호센터는 고령이나 질병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낮 동안 일정 시간 센터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신체·정서적으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시설이에요.
어르신 스스로 사회적 관계와 건강 관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가족들이 어르신의 돌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도 있죠.
주요 서비스로는 식사 및 영양 관리, 체력 증진 프로그램, 인지 능력 개선 활동, 의료 및 생활 관리 등이 있으며, 각 어르신의 필요에 따라 맞춤형 케어를 제공하는 곳도 있어요.
장기요양보험등급을 받는다면 재가 급여를 통해 총비용의 15%~6%정도 본인 부담만 하면 되니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답니다.
2. 주야간보호센터, 언제부터 보내드리면 좋을까?
주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시기는 어르신의 상태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대부분의 어르신이 집에 혼자 계시거나, 거동이 불편하시거나 치매가 있거나 치매가 생길 확률이 있다면 빠르게 주야간보호센터에 보내드리는 것이 좋아요.
집에 있으면 대화 상대가 한정적이고, 주야간보호센터에서 억지로라도 체육, 미술, 노래를 하고, 다른 어르신들과 보호자들과 대화를 하시면 우울증과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거든요.
[주야간 보호 센터를 가야 하는 시기]
시기 | 설명 |
인지 저하가 시작되었을 때 |
치매의 초기 증상이 나타나거나, 기억력이나 판단력이 감소해 스스로 일상을 꾸리기 어려운 경우 만약 배우자가 치매가 있는 경우, 돌봄을 통해 상대방이 우울증이 올 확률이 생길 수 있어요. |
일상생활이 단조로워졌을 때 | 집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무기력함을 호소하거나 반복적인 행동이 나타날 때 |
가족의 돌봄 부담이 클 때 | 가족 구성원의 돌봄 부담이 커져 어르신과 보호자 모두에게 도움이 필요할 때 |
사회적 교류가 필요한 때 | 사람들과 어울리며 활동할 기회가 적어지고 사회적 고립이 우려될 때 |
빠르게 이용을 시작할수록 어르신이 더 쉽게 적응하고, 건강을 유지하며 돌봄을 받을 수 있어요.
*어르신이나 보호자가 원할 때 바로 주야간보호센터에 보내드릴 수 있지 않을 수도 있어요. 센터마다 상황이 다르지만, 짧게는 며칠, 길게는 2개월 정도 대기를 할 수 있거든요.
3. 재신청 조건과 신청 방법
어르신 중에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 이럴 땐, 체험 프로그램을 한두 번 정도 먼저 체험해 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그래도 적응이 어렵다면 아래 방법을 활용해보세요.
방법 | 설명 |
주야간보호센터 시간 점차 늘리기 | 처음에는 1-3시간 정도 짧게 이용하다가 점차 이용 시간을 늘려 어르신이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센터 내 흥미 있는 활동 찾기 |
어르신이 좋아하시는 활동이나 프로그램을 찾아보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해보세요. 만약, 가능하다면 센터와 협의 후 잠시 보호자와 프로그램을 참여해봐도 좋답니다. |
방문요양 서비스 이용하기 | 그래도 어렵다면, 주야간보호센터보다는 편안한 어르신 공간인 집에 방문요양 서비스를 이용해 보셔도 좋아요. |
4. 주야간보호센터 비용은?
주야간보호센터 비용은 장기 요양보험 급여 중 ‘재가급여’에 포함돼요.
주야간보호센터 비용은 이용 횟수와 시간, 서비스 내용에 따라 다르지만, 장기 요양 등급에 따라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비교적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요.
[재가급여 비용 월 한도액]
등급 | 월 한도액 |
1등급 | 2,069,900원 |
2등급 | 1,869,600원 |
3등급 | 1,455,800원 |
4등급 | 1,341,800원 |
5등 | 1,151,600원 |
[3시간 이상 이용 요금]
분류/등급 | 급여비용 | 본인부담(15%) | 감경(9%) | 감경(6%) | 수급자(0%) |
1등급 | 39,810원 | 5,971원 | 3,583원 | 2,389원 | 0원 |
2등급 | 36,850원 | 5,528원 | 3,317원 | 2,211원 | 0원 |
3등급 | 34,020원 | 5,103원 | 3,062원 | 2,041원 | 0원 |
4등급 | 32,470원 | 4,871원 | 2,922원 | 1,948원 | 0원 |
5등급 | 30,920원 | 4,638원 | 2,783원 | 1,855원 | 0원 |
인지지등급 | 30,920원 | 4,638원 | 2,783원 | 1,855원 | 0원 |
[6시간 이상 이용 요금]
분류/등급 | 급여비용 | 본인부담(15%) | 감경(9%) | 감경(6%) | 수급자(0%) |
1등급 | 53,360원 | 8,004원 | 4,802원 | 3,202원 | 0원 |
2등급 | 49,420원 | 7,413원 | 4,448원 | 2,965원 | 0원 |
3등급 | 45,620원 | 6,843원 | 4,106원 | 2,737원 | 0원 |
4등급 | 44,070원 | 6,611원 | 3,966원 | 2,644원 | 0원 |
5등급 | 42,500원 | 6,375원 | 3,825원 | 2,550원 | 0원 |
인지지원등급 | 42,500원 | 6,375원 | 3,825원 | 2,550원 | 0원 |
[8시간 이상 이용 요금]
어르신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간이에요.
분류/등급 | 급여비용 | 본인부담(15%) | 감경(9%) | 감경(6%) | 수급자(0%) |
1등급 | 66,360원 | 9,954원 | 5,972원 | 3,982원 | 0원 |
2등급 | 61,480원 | 9,222원 | 5,533원 | 3,689원 | 0원 |
3등급 | 56,760원 | 8,514원 | 5,108원 | 3,406원 | 0원 |
4등급 | 55,210원 | 8,282원 | 4,969원 | 3,313원 | 0원 |
5등급 | 53,640원 | 8,046원 | 4,828원 | 3,218원 | 0원 |
인지지원등급 | 53,640원 | 8,046원 | 4,828원 | 3,218원 | 0원 |
장기요양보험에 가입된 경우, 등급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6~15% 정도의 비용을 부담해요.
[만약,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이라면? 아래 버튼을 눌러 자격 여부를 확인하고, 손쉽게 요양 등급 신청까지 해결해 보세요!]